본문바로가기

우리나라 석탄산업은
언제부터 시작되었을까?

우리나라의 최초 석탄 흔적은 609년 경북 영일군 갈탄지역에서, 석탄과 무연탄의 용어는 1590년 평양성에서 등장한다. 석탄 사용 기록은 1730년 평양부 동쪽 미륵현에서 등장한다. 석탄산업의 효시는 1896년 러시아인에게 허가한 함경도 경성과 경원지방에 대한 석탄 채굴권이다. 명성황후 시해 이후 고종이 러시아 공관으로 거처를 옮기면서 러시아가 조선의 각종 이권을 독차지하며 채굴허가도 얻었다. 그렇지만 실제로 탄광개발이 착수된 것은 황실이 직영하고 나선 1903년 1월의 일이다.

자세히보기
탄차를 탄 광부(사진출처:한국광물자원공사)

일제의 자원 수탈과 함께한
석탄산업 형성

을사늑약 체결 후 고종 43년(1906)에 ‘조선 광업법’ 공포와 한일합방에 따른 일본의 자원 수탈 정책으로 본격화된다. 일본이 수탈한 광물자원 중에서 가장 관심이 집중된 것은 금, 무연탄, 철이었으며, 이 중 무연탄은 해군 함정의 전략적 연료와 제강용 환원제 등으로 꼭 필요한 광물자원이었다.

전국광산분포도(사진출처:보령석탄박물관)

1910년대는 한반도의 석탄산업이 본격적으로 성장하는 여명기라고 할 수 있다. 1910년대의 우리나라 석탄산업을 주도한 것은 평양광업소였다. 평양탄은 열량이 높은 무연탄으로 품질이 우수했다. 일제식민지 치하에서 평양광업소는 조선총독부가 운영을 하였는데, 1910년에 생산한 7만 톤의 석탄 절반은 청나라와 국내에서 판매되었으며, 그 나머지는 일본 해군의 연료로 활용되었다.

1920년대의 10년간은 석탄산업 여명기를 벗어난 본격적인 석탄산업의 형성기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이 시기의 석탄산업 형성과 탄광 개발은 일본제국주의의 자원 수탈과 맞물려 있다는 점은 식민지배를 받는 민족의 비극이기도 하다. 외국인의 광업권 취득이 제한되는 가운데 모든 광업권을 일본인이 독점하면서 수탈이 가속화된 것이다. 1922년 4월에는 평양광업소의 생산권이 해군연료창 평양광업부로 명칭을 변경하여 일본 해군성으로 넘어가고, 1925년부터는 생산탄에 대한 외국반출이 금지되었다. 1925년 일본인들이 소유한 석탄 광구 수가 전체 442개 광구 중 420개 광구(95%)였던 사실을 감안하면 석탄의 개발 이익은 모두 일본인들의 소유였고 조선인은 값싼 노동력만 제공한데 불과했다. 또 일본 해군성이 무연탄 개발 생산을 직접 관리하고 감독한데서도 일제가 석탄 수탈에 얼마나 심혈을 기울였는가를 짐작할 수 있다.

자세히보기

해방 이후 더 활발해진 탄광개발

8.15 해방으로 탄광 운영권은 우리나라에 넘어왔지만, 일본인 기술자가 철수하고, 강제 징용된 광부들이 고향으로 돌아가면서 운영에 어려움을 겪었다. 특히 매장량이 많은 북한 지역을 중심으로 탄광이 개발되다가 분단이 되면서 남한은 생산량 부족을 겪었다. 설상가상으로 북한이 전력 송전을 중단하면서 석탄 증산은 무엇보다 시급한 과제였다.
탄광에 잔류하기로 한 탄광노동자들은 자치위원회를 구성하여 일본인 중심의 탄광을 해산하고, 탄광시설을 확보하고 나섰다. 광산자치위원회 구성에도 좌우익의 세력 주도권을 차지하기 위한 치열한 다툼이 전개되었다.

자세히보기

한국전쟁 때도 석탄을 캐던 광부들

1950년 6월 25일 한국전쟁 발발과 함께 모든 광업소의 생산활동은 중단됐다. 하지만 전력 공급에 필요한 화력발전소의 에너지인 석탄은 전쟁 때도 여전히 중요한 일이었다. 그런데 당시 탄광의 직원들이 떠나면서 갱내외의 많은 주요 시설들이 전쟁으로 커다란 피해를 입었다. 폭격에 의한 피해보다는 잔류 주민에 의한 인위적 파괴가 더 많았다. 특히 기계, 전기시설 등 갱 외 시설이 많은 피해를 입었다.

자세히보기
광산시설(사진출처:한국광물자원공사)

최대 규모의 탄광도시를 자랑하던
태백시와 삼척시

전국지도 강원도 삼척, 태백 위치 표기

산업발전의 동맥, 철도의 개통

도계-태백-제천의 수도권 방향과 도계-철암-영주의 경상권 방향으로 향하는 철도 개설은 석탄산업을 발전시키는 획기적인 변화를 가져 왔다. 특히 영암선(영주-철암)의 개통은 우리나라 최대 탄광지대인 태백과 도계지역을 본격적으로 개발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했다. 철도의 개통으로 태백지역의 석탄 생산량은 해마다 늘어났고 석탄생산량의 증가는 광부 고용의 증대와 직결되었다.
1960년 삼척군 상장면에서 상장읍으로 승격한 태백지역은 인구가 3만5천여 명에 달했다. 철도는 탄광지역으로 노동자가 쉽게 찾아올 수 있는 인적 자원의 유동을 원활하게 하면서 탄광지역의 발전을 앞당기는 원동력이었다.

자세히보기

폐광과 지역공동화로 이어진
석탄산업합리화 정책

1989년 석탄산업합리화 정책에 의해 석탄산업은 급격하게 쇠퇴하여 지금은 탄광이 5개소 밖에 남아 있지 않다. 석탄이 유일 산업이던 탄광촌은 석탄 합리화 정책 이후 폐허로 변했다. 1988년 전국 347개에 이르던 탄광은 1996년 11개로, 62,259명의 탄광 노동자는 1996년 10,725명으로 감소했다. 탄광이 문을 닫으면서 강원도 태백시는 시 단위 중에서 전국에서 가장 인구가 작은 도시가 되었으며, 삼척시와 삼척군은 하나의 시로 통합되었다. 우리나라 석탄 소비량의 20%를 담당하던 경북 문경군과 점촌시 역시 하나의 도시로 통합되었다.

자세히보기
폐광촌의 명암

석탄 산업 합리화 정책

1989년부터 본격 시행에 들어간다. 사업단은 단계별로 폐광하려고 계획을 세웠으나, 폐광 희망 탄광이 폭주하면서 탄광촌의 지역경제는 마비 상태에 이른다. 대규모 폐광이라는 석탄합리화 정책이 몰고 올 파장을 미리 대비할 수 있는 대체산업의 부재는 정책의 한계로 지적된다. 영국·일본·독일·프랑스 등에서는 석탄업계나 탄광촌의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석탄합리화 진행기간을 30~40년에 걸쳐 서서히 시행했었다. 그런데 우리나라의 석탄산업합리화는 예고도 없이 갑작스럽게 시행된 측면이 있다. 그런 점에서 석탄산업합리화사업은 지역 공동화 문제를 초래한 졸속정책이라는 비판을 탄광촌 주민들로부터 오래 들어야 했다.

탄광 문화를 보여주는
공간으로 탈바꿈

석탄산업은 우리 국가경제발전의 일등공신이다. 탄광개발은 해방 후 산업 및 가정연료로 사용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확장하며, 1970~1980년대까지 활발하게 진행되었지만, 1990년대 석탄산업합리화로 석탄산업은 급격하게 쇠퇴하여 지금은 대부분이 폐광되었다. 탄광이 있었던 자리에는 박물관과 역사문화촌이 만들어졌고, 번창했던 당시의 산업문화유산들이 남아 탄광과 광부들을 기억하고 당시의 문화를 회상한다.

철암탄광역사촌
철암탄광역사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