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하늘에서 탄이 쏟아지는 마을

도계 탄광촌의 철길에는 낙탄을 주우려고 몰려든 사람들이 모여들었다. 도계(삼척시)에서 생산된 석탄은 항구가 있는 묵호(동해시)까지 기차로 운반되는데, 낡은 화차의 벽면에서는 석탄이 흘러내렸다. 구멍 뚫린 화차의 벽면을 가마니 쪼가리로 틀어막고 다녔는데, 덜컹거릴 때는 탄이 쏟아졌다. 도계지역 주민 일부는 석탄화물차가 지나가면서 흘린 탄을 긁어 모으기 위해 각종 도구(체·괭이·호미·세숫대야)를 들고 철로 쪽으로 모여들었다. 주부들이 많았지만, 아이들도 함께 따라다니면서 거들었다. 도계역에서 마교리와 흥전리 구간의 철길 쪽에 석탄을 줍는 사람들이 많았다. 철길 주변의 흘린 탄을 맨손이나 호미 등으로 긁어 모을 때는 자갈 같은 석탄이 아닌 것도 따라 들어왔다. 이런 것은 체로 친 다음에 돌멩이는 바닥에 버리고 석탄만 모아서 세숫대야에 담았다. 장갑도 착용하지 않고 맨손으로 석탄 줍기에 나섰기 때문에 광부들처럼 손끝이 새카맸다. 도계탄광촌의 남자들이 땅 속에서 탄을 캤다면, 도계탄광촌의 주부와 아이들은 철길에서 탄을 캔 셈이다. 1960년대 말까지 철로변에서 탄가루 줍는 일은 부업거리 였다. 추수가 끝난 논에서 흘린 벼 이삭을 줍는 농촌의 풍경처럼, 탄광촌에서는 석탄화물차에서 흘린 석탄을 줍고 있었다. 탄을 모은 뒤 대야나 자루에 담아 가져간 뒤 물에 반죽하여 주먹탄을 만들기도 하고, 수타식 제조기로 연탄을 찍기도 했다.

자세히보기
탄광촌전경(사진출처:국가기록원)
선탄장 주변에서 노는 아이들(사진출처:보령석탄박물관)

월동준비에 가장 중요한 연탄

가을 어귀에만 들어서면 월동준비로 미리미리 연탄을 받아들였다. 금방 찍어 나온 젖은 연탄은 가스 발생이 많기 때문에 가을에 미리 받아 두면 연탄이 말라 불도 잘 붙고 가스 발생도 적어 좋았다. 연탄 준비는 배추 김장과 더불어 월동준비 제1호로 꼽혔다. 특히 연탄파동이라도 나면 연탄은 더 없이 귀한 존재가 되었고, 전국에서 탄광촌만 쳐다보느라 탄광촌은 모처럼 귀한 존재로 대접을 받았다.
큰 광업소에서는 탄광노동자에게 연탄표를 매달 지급하는 복지제도가 있었다. 지급 받은 연탄표를 모아두었다가 초가을부터 연탄을 받기 시작한다. 탄광촌 사택에는 연탄창고가 있지만, 300장 이상 넣기는 어려웠다. 그래서 겨울철에 연탄배달이 급증하는데, 겨울철에는 연탄을 주문하고도 보름 씩, 심할 경우는 몇 달 씩 기다려야 했다. 연탄 오는 날이 확정되면 온 가족은 만사를 제쳐 놓고 기다렸다.

자세히보기
연탄공장 작업 광경(사진출처:국가기록원)

고단한 탄광의 삶이 묻어 있는
탄광사택

산악을 중심으로 탄광이 개발되면서 광부들을 위한 사택도 산을 끼고 형성되었다. 흙벽돌이나 송판으로 벽을 만들고 지붕은 루핑으로 덮는 형태의 풍경은 탄광촌이 형성되던 시기의 사택의 전형적인 모습이었다.
1949년 장성의 신흥·금천·화광·평화마을 등에 282세대의 목조 사택이 건립되었으나, 1950년대 탄광촌 사택은 일제강점기 때 건조된 목조연립을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1960년대에 들어 건립된 사택은 대한석탄공사 사택이 주를 이루었다.
초창기 사택의 경우 공동화장실을 사용했는데, 직급에 따라 화장실도 달랐다. 광부들의 사택은 10~30가구 당 화장실이 1개 동이었지만, 일반관리직 사택은 2~4가구당 1개 동의 화장실을 지었고, 과장급 이상의 관리직 사택은 가구당 화장실이 별도로 있었다.
석유파동으로 석탄 증산이 시급했던 1974년에 탄광노동자 사기진작을 위하여 곳곳에 사택 건립이 본격화되었다. 1975년 들어와서는 목조연립사택이 시멘트 블록사택으로 수준을 높여 건축되었다. 태백의 장성광업소에서는 1978년에 11평형 3층 규모의 화광아파트 702세대를 건립했고, 같은 해 삼척의 도계광업소에서는 흥전리에 11평형 3층 연립의 희망아파트를 건축했다. 이 아파트는 탄광촌 아파트형 사택의 효시라고 할 수 있다.

자세히보기
탄광촌의 돌담 집(사진출처:보령석탄박물관)
양지사택 공용화장실
장성광업소사택촌(화광아파트) 전경(사진출처:국가기록원)

동시집 <탄광마을 아이들>

『탄광마을 아이들』은 시인인 임길택이 강원도 탄광마을에서 교사로 재직하면서, 아이들 또는 탄광촌 주민들로부터 듣고 느낀 이야기를 아이들의 시선과 눈높이에 맞춰 시로 옮겨 놓은 동시집이다. 작품에는 탄광 마을, 광부인 아버지의 모습, 아이를 키우는 엄마 모습, 밤에만 빨래하는 뒷집 아저씨, 돌아가신 할머니를 그리워하는 할아버지, 그리고 탄광촌에서 생활하는 아이들의 모습 등 많은 이야기가 담겨있다.

자세히보기
장성광업소사택촌(화광아파트) 전경(사진출처:한국광물자원공사)

거울 앞에 서서 (임길택)

아버지 하시는 일을
외가 마을 아저씨가 물었을 때
나는 모른다고 했다

기차 안에서
앞자리의 아저씨가
물어봤을 때도
나는 낯만 붉히었다

바보 같으니라구
바보 같으니라구

집에 돌아와
거울 앞에 서서야
나는 큰 소리로 말을 했다

우리 아버지는 탄을 캐십니다.
일한 만큼 돈을 타고
남 속이지 못하는
우리 아버지 광부이십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