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Y - ELEC TI - 녹고가 흘린 눈물이 고여서 샘이 된 제주 녹고물 AU - 이영식 T2 - 사람을 잇는 문화 지역N문화 - 한국문화원연합회 AB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한경면 고산리에는 물이 솟아나는 용천수가 있다. 지역에서는 이 용천수를 용운천(龍雲泉)이라고 하지만 마을사람들은 보통 ‘녹고천’이라고 부른다. 녹고물을 이야기할 때는 수월봉이 함께 등장한다. 수월봉은 해발 78m의 작은 산으로 제주지역에서는 이러한 산을 오름이라 하는데, 오름에는 분화구가 있는 것이 일반적지만 수월봉에는 분화구가 없는 것이 특징이다. 녹고물 이야기는 수월봉과 더불어 100가지에서 하나가 부족한 99개의 비극이라고 하겠다. DA - 2022/07/25/ PY - 2022년 LA - Korean M3 - 지역문화 스토리텔링 ST - 녹고가 흘린 눈물이 고여서 샘이 된 제주 녹고물 UR - https://ncms.nculture.org/origin-of-place-names/story/9789 L2 - https://ncms.nculture.org/origin-of-place-names/story/9789 KW - 제주특별자치도 KW - 바위 KW - 용천수 KW - 제주시 KW - 남매 KW - 수월 KW - 녹고 KW - 수월봉 KW - 눈물 KW - 용운천 KW - 녹고물 E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