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Y - ELEC TI - 권력의 경중도 따졌던 저울추 AU - 김태우 T2 - 사람을 잇는 문화 지역N문화 - 한국문화원연합회 AB - 저울추는 돌로 된 석추, 흙으로 된 토제추, 나무로 된 목제추, 쇠로 된 철추. 청동이나 백동으로 된 추 등이 있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이른 시기에 사용되었던 저울추는 신석기 시대의 돌로 된 석추이며 삼국시대의 1근명 석재 용범, 신라시대의 석제 추, 통일신라시대의 12지상 청동 추 등이 출토된 것으로 보아 그보다 일찍부터 저울과 저울추가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쇠로 된 철추는 모양이 다양한데 가장 많은 것이 종형이고 그 밖에 방울 모양, 납작한 원판형 등이 있다. 저울추를 한자로 ‘권(權)’이라고 하는데 권력의 형평성을 이야기할 때 흔히 저울추가 언급되기도 한다. DA - 2022/03/03/ PY - 2022년 LA - Korean M3 - 지역문화 스토리텔링 ST - 권력의 경중도 따졌던 저울추 UR - https://ncms.nculture.org/lture/story/9106 L2 - https://ncms.nculture.org/lture/story/9106 KW - 저울 KW - 저울추 KW - 정량중추 KW - 대저울 KW - 권(權) E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