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Y - ELEC TI - 3개리 70여명이 참여한 막계리 혼상부조계 AU - 류영희 T2 - 사람을 잇는 문화 지역N문화 - 한국문화원연합회 AB - 막계리의 혼상계에 대한 기록은 일제시기인 1926년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계 명칭은 신종계(愼終契)인데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내용은 전해진 바 없다. 1965년쯤에 와서 마을에 혼상부조계가 있었다. 이 계는 막계1, 2, 3리 전체가 함께 하는 계였는데 계원은 70~80명 정도로 마을 전체 주민의 절반 정도가 참여하였다. 마을에서 사람이 죽으면 우선 혼상부조계에서 통문을 놓는다. 계원들은 통문을 받고 계금을 내며 계 타는 사람은 당일 낮 12시에 탁주 한 통, 국수 한 관을 가지고 와서 계원들을 대접하며, 백미 2가마, 마포(麻布) 150자, 광목 5통, 탁주 10통을 가져간다. DA - 2021/11/22/ PY - 2021년 LA - Korean M3 - 지역문화 스토리텔링 ST - 3개리 70여명이 참여한 막계리 혼상부조계 UR - https://ncms.nculture.org/ceremonial/story/8260 L2 - https://ncms.nculture.org/ceremonial/story/8260 KW - 신종계 KW - 혼상부조계 KW - 막계리 E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