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Y - ELEC TI - 고려시대 여성의 일상용 머리쓰개, 족두리(簇頭里) AU - 이상례 T2 - 사람을 잇는 문화 지역N문화 - 한국문화원연합회 AB - 족두리(簇頭里)는 족두(蔟兜) 또는 족아(簇兒), 족관(蔟冠)이라고도 하며 부녀자가 예복에 갖추어 쓰던 관(冠)이다. 족두리는 관모(冠帽)라기 보다는 미적 장식품으로서의 수식(首飾)으로 볼 수 있다. 그 형태는 검은 비단으로 만들어 아래는 둥글고 위는 여섯 모가 난 모자다. 전체적인 모양은 위가 넓고 아래로 내려갈수록 좁다. 족두리는 원나라(현재 몽골)에서 고려 왕비에게 선물한 고고리(姑姑里 또는 古古里)가 와전되었다고 추정한다. 이 시기의 족두리는 몽골풍으로 추정되며 고려 후기 이후에 사용되었다. 족두리에는 ‘민족두리’와 ‘꾸민 족두리’가 있으며, 오늘날에도 신부가 폐백을 드릴 때 원삼과 함께 착용한다. DA - 2022/11/29/ PY - 2022년 LA - Korean M3 - 지역문화 스토리텔링 ST - 고려시대 여성의 일상용 머리쓰개, 족두리(簇頭里) UR - https://ncms.nculture.org/onal-clothes/story/11005 L2 - https://ncms.nculture.org/onal-clothes/story/11005 KW - 족두 KW - 족아 KW - 족관 KW - 민족두리 KW - 꾸민족두리 KW - 어염족두리 E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