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Y - ELEC TI - 하얀 저고리를 뜻하는, 백저의(白紵衣) AU - 이상례 T2 - 사람을 잇는 문화 지역N문화 - 한국문화원연합회 AB - 백저의(白紵衣)는 흰색 모시인 백저로 만든 포이다. 우리나라의 직조기술은 이미 삼국시대에 상당한 수준에 이르렀으며 이는 고려시대로 이어졌다.백저의는 우리 복식사에서 가장 오래된 유의(遺衣)라고 할 수 있다. 고려시대의 백저의는 서산 문수사(文殊寺) 극낙보전의 금동여래상 몸통에서 우연히 발견되었다. 이 물건들은 불상조영의 발원문에 의해 1346년(충목왕 2) 무렵의 것으로 밝혀져, 백저의의 연대는 원 간섭기 말기의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또한 『고려도경』 「관복조(冠服條)」 왕복(王服)에는 “고려 왕의 포는 백저(白紵)로 하여 일반 백성과 다를 게 없었다.”라는 기록이 있어 고려시대 기본 복식은 백저의였음을 알 수 있다. DA - 2022/11/18/ PY - 2022년 LA - Korean M3 - 지역문화 스토리텔링 ST - 하얀 저고리를 뜻하는, 백저의(白紵衣) UR - https://ncms.nculture.org/onal-clothes/story/10587 L2 - https://ncms.nculture.org/onal-clothes/story/10587 KW - 삼국시대 KW - 모시 KW - 저고리 KW - 고려도경 KW - 포 KW - 유의 ER -